Wall vibration

구조물의 자유진동상태를 세밀히 관찰(observation)하면 구조물이 가지고 있는 기본성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고유진동수고유모드를 이용하면 구조물의 전체강성을 유추할 수 있고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변형경로를 예측하기도 한다.

특히 기본고유진동수는 구조물의 설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구조물이 거대해지고 넓어질 수록 고차 고유진동수의 역할도 커진다.

공학은 상식에서 시작하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전문가는 정량적인 데이터에 기초한 논리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구조물을 설계하거나 기존의 구조물을 보강할 때 먼저 구조물의 현재상태를 정확히 검토해야한다.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대상 구조물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가 먼저 확보되어야 한다. 그리고 담당기관은 그 정량적인 데이터를 잘 보관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구조물에 문제가 발생하게될 소지는 계속 존재하게 된다.

구조물의 보강을 위해서는 단순히 강성을 증가시키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구조물의 특정한 부분에 대한 강성을 임의로 변화시키면 건물전체가 가지고 있는 강성의 균형이 깨어질 수 있다. 부분적인 보강은 이루어 질 수 있으나 구조물 전체는 뜻하지 않은 하중에 대해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고 위험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강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 변화된 구조물의 전체적 성능이 심층적으로 검토되어한다. 비 전문가들이 진행하는 보강은 합리적이고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루틴을 벗어나 구조(해석)설계 소프트웨어의 OK사인에 따라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때로는 전문가들도 이러한 실수를 하게 된다.

초기구조물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없이는 구조체에 대한 단순한 보강으로 진행되기 쉽다. 결론적으로 구조해석에 의한 정량적 데이터가 없이 단순 보수보강을 진행하는 것은 전문가다운 처신으로 볼 수는 없다.

하단부 양끝이 고정된 벽체의 자유진동을 통해서 벽체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조물의 강성과 연성을 조절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 가공될 수도 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